
요즘 뉴스들은 정말 정치, 경제 분야에서 좋은 뉴스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래 뉴스가 좋지 않은 것이 더 많지만 최근 금리 상승과 국가 간 갈등으로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사람들의 심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 현재 불확실성만 가득한 자산시장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를 포착하는데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현재 주식시장 상황과 대응방안 내년에는 올해만큼 급격한 금리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적으로 시장이 많이 빠지면 V자 반등을 했었지만 이번에는 하락이 크더라도 정부에서 손을 쓸 수 없어서 급격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올해 경제상황을 어렵게 만들었던 요소들이 내년부터 조금씩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그 기대감에 연말에 주식 시장 상승 랠리가 나올 가능성도..

금일 저녁에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인데 앞서 발표된 생산자 물가가 높게 나오고 유가도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당연히 소비자 물가지수가 높게 나올 것이라 예상하는 시각이 많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FED에서 정책의 피봇을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을 것 같은데 우선 금리가 내려가는 것을 보고 투자 결정을 해보는 게 좋다고 생각된다. 물가지수와 금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과 OPEC+의 감산이 하락 중이던 물가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던 유가가 다시 100달러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가가 하락하면 생산량을 줄여 다시 유가가 올라가는 패턴이 반복되어 단기적으로는 유가가 하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최근 유가의 상승 때문에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높게 나올 것이..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으로 코스피 지수가 1,439p를 기록한 뒤 1년 3개월 동안 상승해 2021년 6월에 3,316p로 고점을 형성한 뒤 또다시 1년 3개월 넘는 현재까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수가 32% 넘게 하락했다는 것은 종목별로 50% 이상 하락한 종목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올해 6월과 9월 하락장에서 신용잔고 반대매매로 항복도 나온 상황이다. 즉 투자자들의 심리상태는 거의 바닥이라고 생각되며 하락 요인들을 점검해 보면서 현시점의 이해도를 높이고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금리 인상 사이클 10월 12일 한국은행은 빅스텝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예상했던 물가 정점은 9~10월이었다. 하지만 최근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 감산 결정으로 물가 정..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부동산 투자의 시대는 끝이 났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하지만 주변을 한 번 살펴보라.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들보다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수익률이 좋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무것도 투자하지 않는 사람은 논외로 하자. 부동산 투자에 있어 금리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비용은 다시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부동산이 가진 본연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한다. 부동산 투자 수익률 아직 개인 또는 기관에서 투자하지 않은 투자금들이 많다. 이 투자금들이 어떻게 배분이 될지 관심이 크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현재 주식시장은 부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따라서 주식시장에서 자본이 활성화되기는 어렵다고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부동산은 여전히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

자산시장 참여자들에게 모든 경제지표가 민감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오늘 발표되는 고용지표도 앞으로의 금리 인상폭을 조절할 수 있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고용지표가 좋게 나오면 금리를 올릴 여유가 있어 시장에서는 나쁘게 받아들일 것이고 반대로 고용지표가 나쁘게 나온다면 경기침체라고 받아들여 금리 인상폭을 줄일 수 있겠다는 기대를 하는 것이다. 고용지표와 금리 FED의 쿡 이사 외 다른 의원들이 강력한 금리인상 의지를 확고히 했다. FED에서 금리 인상을 강력히 추진할 수 있는 배경에는 탄탄한 미국 고용시장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 고용시장이 나빠지는 신호들이 나오고 있어 FED에서는 금리를 올릴 수 있는 명분이 있을 때 최대한 많이 금리를 올리려 할 것이다. 오늘 발표된 ..

요즘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금리이다. FED에서 금리에 대하여 어떤 정책을 내놓을 것인지, 그리고 금리에 영향을 받는 자산들의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FED의 입장을 바꿀 수 있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을지 관심이 몰리고 있다. 지금 당장 경기침체가 와서 모든 것이 무너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지만 현재 경제상황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금리와 부동산 시장 금리가 많이 올라 12년 전과 비슷해졌다. 경제를 볼 때 수요와 공급도 중요한데 비용이 가장 중요하다. 수요라는 것은 갑자기 급증하는 것은 어렵다. 비용의 대표적인 것은 금리인데 이 금리에 따라 수요와 공급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물이 반 정도 담긴 컵을 바라보면서 절반이나 있다고 생각할 수 도 있고 절반밖에 없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