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와 달러 강세가 정점을 찍고 인상 속도조절에 나설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미국이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급격하게 금리인상이 되었고, 이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제 미국이 어떤 결정을 하게 될지 곧 다가올 11월 FOMC 회의를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제로금리 정책 금리가 오르게 되면서 달러 가치가 올라가게 되고 우리가 알고 있듯이 외환보유고가 적은 나라들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 위험도가 높은 나라들부터 하나씩 위기가 찾아오게 되는데 최근에는 영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의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영국은 감세 정책을 발표했다가 채권시장이 무너지면서 경제적 충격을 받았고, 일본은 제로금리를 유지하면서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들은 미국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제..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금까지 사업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기회의 땅이었고 한국이 경제성장을 꾸준히 이루어왔던 것에 중국이라는 나라가 보탬이 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오늘 글의 주제는 한국기업들이 중국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 것을 이야기해보려 한다. 결론적으로 정치적, 심리적인 요인이 아니라 중국 내 산업 생태계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간 교역 현황 한국이 중국과 거리를 둔지는 시간이 좀 되었지만 상당수 국민들은 인지를 하지 못 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한국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중국과 거리를 두는 것이 한국에 큰 위험이지 않는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고 사실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과 거리를 둔다는 것이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

요즘 뉴스들은 정말 정치, 경제 분야에서 좋은 뉴스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래 뉴스가 좋지 않은 것이 더 많지만 최근 금리 상승과 국가 간 갈등으로 자산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사람들의 심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 현재 불확실성만 가득한 자산시장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를 포착하는데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현재 주식시장 상황과 대응방안 내년에는 올해만큼 급격한 금리인상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적으로 시장이 많이 빠지면 V자 반등을 했었지만 이번에는 하락이 크더라도 정부에서 손을 쓸 수 없어서 급격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올해 경제상황을 어렵게 만들었던 요소들이 내년부터 조금씩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그 기대감에 연말에 주식 시장 상승 랠리가 나올 가능성도..

금일 저녁에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인데 앞서 발표된 생산자 물가가 높게 나오고 유가도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당연히 소비자 물가지수가 높게 나올 것이라 예상하는 시각이 많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FED에서 정책의 피봇을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을 것 같은데 우선 금리가 내려가는 것을 보고 투자 결정을 해보는 게 좋다고 생각된다. 물가지수와 금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과 OPEC+의 감산이 하락 중이던 물가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던 유가가 다시 100달러 가까이 접근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가가 하락하면 생산량을 줄여 다시 유가가 올라가는 패턴이 반복되어 단기적으로는 유가가 하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최근 유가의 상승 때문에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높게 나올 것이..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으로 코스피 지수가 1,439p를 기록한 뒤 1년 3개월 동안 상승해 2021년 6월에 3,316p로 고점을 형성한 뒤 또다시 1년 3개월 넘는 현재까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수가 32% 넘게 하락했다는 것은 종목별로 50% 이상 하락한 종목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올해 6월과 9월 하락장에서 신용잔고 반대매매로 항복도 나온 상황이다. 즉 투자자들의 심리상태는 거의 바닥이라고 생각되며 하락 요인들을 점검해 보면서 현시점의 이해도를 높이고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금리 인상 사이클 10월 12일 한국은행은 빅스텝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예상했던 물가 정점은 9~10월이었다. 하지만 최근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 감산 결정으로 물가 정..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부동산 투자의 시대는 끝이 났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하지만 주변을 한 번 살펴보라.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들보다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수익률이 좋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무것도 투자하지 않는 사람은 논외로 하자. 부동산 투자에 있어 금리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비용은 다시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부동산이 가진 본연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한다. 부동산 투자 수익률 아직 개인 또는 기관에서 투자하지 않은 투자금들이 많다. 이 투자금들이 어떻게 배분이 될지 관심이 크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현재 주식시장은 부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따라서 주식시장에서 자본이 활성화되기는 어렵다고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부동산은 여전히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