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지식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전망

흐름투자 2022. 10. 1. 22:11
반응형

우상향 그래프

최근 들어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서 FED에서는 고금리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정책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들이 있을 수 있지만 FED의 정책에서 벗어나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전망을 다른 시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적인 의견이니 개인 투자자분들은 참고만 하시길 추천한다.

FED의 정책과 인플레이션

FED에서 고강도 긴축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수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FED의 정책이 통하지 않는다는 사람들의 생각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가 FED의 정책에 관련해서 너무 과한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든다. COVID-19로 인하여 지난 2년 정도 유례없는 특수한 경제 상황이 펼쳐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전에 금리를 급격히 올려서 인플레이션 수치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더라도 지금은 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과거 인플레이션 수치가 낮았던 시기와 다른 점들을 살펴보면 미국의 노동시장이 핫하다는 것이다. 과거에 노동시장이 지금과 유사하게 핫할 때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높지 않았다. 지금 노동시장이 불안정하고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아직은 그 판단을 하는 것을 미루는 것이 좋겠다. 이러한 고용시장의 환경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고 판단된다. FED를 포함하여 어느 누구도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측하지 못했고, 다른 종류의 경제변화를 만드는 특별한 상황들이 연출된다. 저임금 비숙련 노동자들은 줄어들고 있고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일을 하는 노동자들과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앞서 언급했듯이 COVID-19의 유행으로 특수한 경제 상황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과거에서 100% 일치하는 답을 찾을 수 없다. 통화량이 급격히 늘어난 부분도 있고, 공급망에 대한 제약도 있었으며, 지정학적 갈등도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가가 오르고 식료품비도 오르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을 추가해보면, 2021년은 역사상 경제가 가장 빠르게 위기에서 회복이 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COVID-19 위기는 경제상황에 큰 구멍을 만들었고 모두가 이 구멍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했다. 회복 속도가 너무 빠르다 보니 정상적인 회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바로 이 부분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킨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정상적인 경제상황으로 거의 돌아왔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은 조금씩 줄어들어야 한다.

인플레이션의 전망

인플레이션은 항상 단기적인 현상이었고 이번에도 단기간 진행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지난 2년정도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가 많이 있었는데 그중에 식당이나 여행업에 종사하는 저임금 비숙련 노동자들의 수가 많이 줄었다. 이를 계기로 사람들은 자기 계발을 하고 더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었고 식당 같은 곳에서 일을 하려는 사람들이 많이 줄게 되어 임금이 올라가는 현상까지 발생되게 되었다. 따라서 외식비가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올해는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진행이 되었는데, 2023년에는 FED의 목표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것이라 전망한다. 지금은 다양한 이슈들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 같은 느낌을 받겠지만 영원히 지속되지 않다는 것이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FED에서도 지속적으로 그들만의 방법으로 인플레이션에 대응을 하고 있고 금리나 달러의 가치가 무한정 오르지는 않는다. 지금 현재도 인플레이션에 압력을 느끼고 급격히 금리가 올라가는 바람에 자본의 이동이 발생하고, 달러의 가치가 많이 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미국에서도 달러의 가치가 계속 높게 유지되는 것이 좋지 않으며 주변 국가들에게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보통 지금과 같은 고금리 상황과 유사한 시기를 역사에서 찾으려 한다. 하지만 금리가 높다는 공통점 외에 경제적인 상황은 동일하지 않다.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것들이 변했기 때문이고 지금까지 없었던 팬데믹 상황에 따른 결과물로 쉽게 전망을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지금 높아진 금리, 인플레이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정학적 리스크이다. 미국과 중국 그리고 두 나라의 동맹국들은 지정학적인 리스크에 항상 노출되어 경제상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