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금리이다. FED에서 금리에 대하여 어떤 정책을 내놓을 것인지, 그리고 금리에 영향을 받는 자산들의 방향은 어떻게 될 것인지, 그리고 FED의 입장을 바꿀 수 있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을지 관심이 몰리고 있다. 지금 당장 경기침체가 와서 모든 것이 무너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지만 현재 경제상황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금리와 부동산 시장
금리가 많이 올라 12년 전과 비슷해졌다. 경제를 볼 때 수요와 공급도 중요한데 비용이 가장 중요하다. 수요라는 것은 갑자기 급증하는 것은 어렵다. 비용의 대표적인 것은 금리인데 이 금리에 따라 수요와 공급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물이 반 정도 담긴 컵을 바라보면서 절반이나 있다고 생각할 수 도 있고 절반밖에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주택 가격지수 등 자산 시장이 조정을 받은 것을 보면서 이제 경기침체에 진입하였으니 금리 인상 속도를 줄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는 입장이 있고, 지금까지 상승폭에 비해서 하락폭이 작기 때문에 아직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이다고 보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경제 상황을 보는 시각이 공존하다 보니 쉽게 경제 전망을 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제상황은 세계경제를 전망할 수 있는 상징성이 있다. 미국 부동산 시장 지표를 살펴보면 상승률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미국을 보면 물가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는데 소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지속적인 주택 가격 상승과 연관이 있다. 당장 현금화는 되지 않지만 자산이 늘었다는 생각에 지출을 늘리게 되는 것이다. 금리 상승 속도가 둔화되면 주식시장은 반등을 할 가능성이 크지만 주택시장 지표를 보면 아직 상승에 비해 하락의 폭이 작아 더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FED에서도 부동산 지표를 보고 아직은 금리인상 폭을 줄일 시기는 아니라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
금리와 미국의 고용지표
펜데믹 이후 기업체에서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뉴스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전월 대비 구인자수 급격히 감소하여 팬데믹 직후만큼 변동폭을 키웠다. 고용지표가 개선되어 가는 듯하다가 고용지표가 악화되기 시작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고용지표가 좋게 나왔기 때문에 FED에서도 재정긴축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인데 고용시장이 악화가 되기 시작한다면 경기침체에 진입했다고 인식을 하게 되고 이는 금리 인상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고용시장의 침체가 오게 되면 FED에서도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명분을 가질 수 있고 경기 부양정책으로 선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월대비 변동폭이 급감했지만 여전히 전체 구인수요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큰 방향은 바뀌었지만 아직 명확한 전망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금리와 영국 국채 시장
영국의 채권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주식시장이나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영국의 국채 수익률은 연초 대비 평균 36% 하락한 상태이다. 채권시장의 특성상 이러한 급격한 변동은 역사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들다. 영국은 팬데믹과 유럽연합 탈퇴 등으로 경제상황이 좋지 않다. 최근 정부에서 감세 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이는 중장기적으로는 이득이 될 수 있겠으나 당장 고금리 상황에 재정긴축에 진입하고 있는데 반대되는 감세 정책을 내놓으면서 채권시장에서 영국 국채가 외면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영국 국채의 급격한 가격 하락이 나타난 것이다. 이로 인해 선진국의 국채의 안정성에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다. 결국 감세 정책을 일부 철회하였지만 사람들의 영국 국채에 대한 믿음이 사라진 상황이다 보니 쉽게 채권 가격이 상승하지는 못하고 있다. 현재 채권시장은 더 이상 재정 악화를 방관하지 않겠다는 분위기이다. 펜데믹 기간에 거의 무제한으로 발행된 채권이 이제 위기로 찾아온 것이다. 내년에 결국 금리가 내려가면서 채권 가격이 올라가겠지만 지금 상황이 위태로운 것은 사실이다.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 시대 부동산 투자에 대한 생각 (0) | 2022.10.10 |
---|---|
금리의 방향성 (0) | 2022.10.08 |
인플레이션과 주요 국가들 상황 (1) | 2022.10.06 |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이해와 전망 (1) | 2022.10.03 |
부동산 시장 하락기에 주의해야 할 지역 (0) | 2022.10.03 |